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 기자, 아자 정치부 홍지은 기자 나왔습니다. <br> <br>Q. 홍 기자, 나경원 전 의원 들리는 말로는 어젯밤 10시까지도 출마와 불출마 선언문을 다 써놨다던데 왜 불출마로 간 건가요? <br> <br>측근들의 이야기를 종합하면, '반윤의 덫에 갇혔다'는 것입니다. <br> <br>그제까지만 해도 '출마 외에는 답이 없다'는 기류가 강했습니다. <br> <br>그러나 어제 4시간 동안 측근들과 회의하면서 변화가 감지됐다고 합니다. <br><br>'아버지 등 가족 반대가 심하다', '대통령과의 관계가 가장 큰 고민이다'는 등 우려를 드러냈다는 겁니다.<br> <br>결국 출마와 불출마, 모든 선택지를 들고 어젯밤까지 고민하다가 불출마를 최종 선택했는데요. <br> <br>가족의 반대와 주변 원로들의 만류가 불출마를 선택하는데 가장 큰 이유가 됐고요. <br> <br>집권 1년차 힘이 센 대통령과 척을 지는게 정치인으로서 부담도 됐을 겁니다. <br> <br>Q. 그래도 자세히 보면 친윤 의원들에 대한 앙금은 남아있는 것 같아요. <br> <br>오늘 기자회견에서 눈에 띄는 단어가 있었습니다. <br> <br>바로 '낯설다'입니다. <br> <br>[나경원 / 전 국민의힘 의원] <br>"그런 저에게 오늘 이 정치 현실은 무척 낯섭니다. 정당은 곧 자유 민주주의 정치의 뿌리입니다. 포용과 존중을 절대 포기하지 마십시오." <br> <br>초선 의원들이 사실상 불출마를 종용하는 성명서를 집단으로 내고, 친윤들이 전방위로 압박했던 것을 우회적으로 비판한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그러면서 이른바 여권내 '배신자'로 낙인 찍히는 것을 경계하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야당 시절 원내대표로서 문재인 정권과 맞서는 교섭단체 대표연설 때 입은 초록색 정장도 입고, 자신이 '영원한 당원'이라고 두 차례나 강조했습니다. <br><br>또 SNS에는 불출마 선언문과 함께 지난 대선 당시 윤석열 후보 지지 연설 영상을 올리기도 했습니다.<br> <br>자신을 '반윤 우두머리'로까지 표현한 친윤 의원들을 향한 반박이기도 하고요. <br> <br>Q. 대통령 순방 기간까지 나 전 의원과 대통령실이 충돌했었잖아요. 대통령실은 어떤 반응입니까? <br> <br>대통령실은 공식 언급은 자제했는데요. <br> <br>논란은 일단락됐지만 그 과정에서 말이 많았던 만큼 불쾌감은 여전합니다. <br> <br>나 전 의원이 일방적으로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직을 던지고 또 해임을 하는 과정에서 대통령이 당무에 개입하는 모양새를 만들었고, 국정에도 부담을 줬다는 이유에서입니다. <br><br>대통령실 관계자는 "본인이 일을 만들고 결국 본인이 정리한 것"이라며 "사표부터 아쉬움이 많다"고 말했습니다.<br> <br>Q. 나 전 의원 사태를 보면 확실히 당은 친윤이 장악한 것 같아요. 초선 대부분이 나 전 의원 공격하고 하는 걸 보면요. <br> <br>집단으로 세를 과시하면서 힘으로 나 전 의원의 출마 뜻을 꺾은 것으로 보일 수 있어서 부담을 느낄 수밖에 없겠죠. <br> <br>그래서인지 '친윤 핵심'이자 나 전 의원을 공개 비판한 장제원 의원은 열흘 넘게 공식 메시지를 내지 않고 있습니다. <br> <br>친윤 지원을 받는 김기현 의원도 장 의원과 공식일정을 함께하지 않으면서 이른바 '김장연대' 대신 연대 포용 탕평을 의미하는 <br>'연포탕'을 내세우고 있는데요. <br> <br>나 전 의원과 함께 김 의원을 이끌었던 장 의원도 뒤로 물러나면서 김기현 의원과 안철수 의원의 1대1 정면 승부는 이제부터 시작인 것 같습니다. <br> <br>Q. 나경원 전 의원이 불출마 선언하면서 특정 주자를 지지하지는 않은 상황, 나경원 표는 누구에게 갈까요? <br> <br>나 전 의원은 일단 전당대회에서 역할을 하지는 않겠다고 말했습니다. <br> <br>특정인 지지 선언을 하지 않겠다는건데요.<br><br>하지만 김기현 안철수 의원 모두 나 전 의원 지지층을 흡수하기 위해구애하는 모양새입니다. <br> <br>[김기현 / 국민의힘 의원] <br>"나경원과 손잡고 보다 나은 대한민국 사랑받는 국힘 만들도록 힘을 쏟겠습니다." <br> <br>[안철수 / 국민의힘 의원] <br>"나경원 의원께서 원하시는 그런 방향들이 수도권에서의 승리 아닙니까? 나경원 의원뿐만 아니라 전 당원들의 바람이기도 합니다. <br> <br>Q. 실제 이 지지세가 어떻게 움직일까요? <br> <br>오늘 발표된 여론조사를 통해 분석해보면요. <br><br>다자 대결에서 나 전 의원은 3위를 기록하며 여전히 적지 않은 지지율을 기록하고 있었습니다. <br> <br>같은 조사의 가상 양자대결에서는 안철수 의원이 김기현 의원을 앞섰는데요. <br> <br>나 전 의원 지지층 가운데 56.4%가 안 의원을, 34.1%가 김 의원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> <br>안 의원 측은 이런 여론조사 결과를 토대로 나 전 의원 표심을 더 많이 흡수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김 의원 측은 앞으로 '친윤 대 비윤' 양자구도가 형성되면 대통령을 지지하는 당원의 결집이 가속화돼 금새 여론조사 결과가 달라질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. <br> <br>Q. 전당대회 변수 남은 게 뭐가 있나요? 유승민 전 의원 출마는 정해졌어요? <br> <br>유승민 전 의원의 출마 여부가 당장 남은 변수라고 할 수 있죠. <br> <br>유 전 의원의 출마 여부에 따라 이른바 '비윤' 표가 분산되느냐 결집하느냐 관전 포인트라고 할 수 있는데요. <br> <br>유 전 의원 주변에 물어봤는데, 아직 출마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도 도와달라는 당부도 없었다고 합니다. <br> <br>다음 달 2일에는 후보 등록이 시작되기 때문에 조만간 의사 표명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<br />홍지은 기자 rediu@ichannela.com